시험은 좋은 것일까 나쁜 것일까.

중학교 때 시험과 평가가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생각했다.
어른이 되면 나 자체로 의미있는 그런 세상이 오지 않을까 기대했다.
하지만, 인생은 시험의 연속이었다.

초등학교 때 받아쓰기를 했는데
선생님이 1번부터 10번까지 단어를 불러주시고 그 말을 공책에 썼다.
그 때는 열심히 했는지 종종 상을 받았다.
대단한 건 아니지만 상으로 종이조각을 받았고 여러 장 모으면 선물을 받을 수 있었다.
그 종이조각은 갈색이었는데 공책 첫페이지에 끼워 모았던 특별하고 좋았던 기억이 있다.

그 때 시험은 내게 조금만 잘하면 선물을 받을 수 있는 기다려지는 시간이었다.


초등학교 고학년에는 여러 과목 시험을 봤는데
시험은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시간이었고 잘 푸는 사람은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었다.
못 푸는 사람은 공부에 부족한 사람이었다.
공부를 잘 하는 사람이 인기도 있었다. 친구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인정하는 서열로 받아들여졌다.
수업시간 외에 시험공부를 하지는 않았는데 점수는 괜찮았던 것 같다.

시험 스트레스는 적었던 것 같다.
그나마 초등학교 때까지는 선생님들이 시험 스트레스를 덜 줬던 것 같다.

중학교 때부터 시험은 아주 중요한 것이 되었다.
중간고사 기말고사가 있었고 모의고사도 있었다.
그 점수는 나를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되었다. 
선생님은 그 점수로 혼을 내기도 하고 잘 해주기도 했다. 
점수가 다르면 대우가 달려졌다.
시험을 잘 보는 친구는 공부 잘 하는 아이가 되어 존중받고 못하는 아이는 체벌을 받았다.

이 때부터 시험을 피하고 싶었다. 매번 다가오는 시험이 고통의 연속이었다.
재미있지도 않는 것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평가받는 시간들이었다.

고등학교 때도 마찬가지였다.


대학교 때 시험은 사회예비생으로서 잘하고 있는지 가늠해볼 수 있었다.
사회 나가기전에 시험을 잘 봐야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다는 현실적 의미로 다가왔다.
좋은 점수를 얻으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했다.


사회에 나와서도 시험은 계속 되었다.
조직에 속해있으면 하기 싫은 것은 계속해야하고
하고 싶었던 것도 재미없게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.


시험은 나를 점검해볼 수 있는 도구이지만,
실상 나를 평가하는 점수로 내가 만들어지고 있었다.

시험을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말하지만 사실 그런 세상은 지금 없다.
모두가 즐겁게 시험을 볼 수 있는 세상 또한 없다.

세상에 등을 질 것인지
아니면 시험은 봐야하는데 그것에서 재미를 찾아 잘 해보던지 선택해야 한다.

시험은 싫지만 나를 포기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.








+ Recent posts